오늘 University Hour 시간에 정보통신부 장관이신 진대제 장관님의 특강이 있었다.
친구들이 대단한 사람이라고 해서 기대를 잔뜩하고 특강을 하는 Supex Hall에 갔는 데 역시나 홀이
가득 찰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와 있었다. IT 839전략이라는 주제로 강의하였는데 이것은 정보통신
부에서 앞으로 우리가 육성해야 할 IT산업에 관한 인프라, 전략, 핵심 제품에 관한 것이었다. 이것을
통해서 2만불 시대로 나아가자는게 주된 목적이다. 자세한 내용은 요약글에 담았다.
IT를 통해서 2만불 시대로 나아가는 방법, 즉 우리가 10년 20년 뒤도 먹고 살 물건에 대해 말해주셨
다. DRAM과 휴대폰 등으로 수출을 많이 하고 있지만 앞으로 중국과의 기술 격차는 줄어들고 새로
운 신상품들을 만들지 않으면 안된다. 그래서 정보통신부에서는 인프라를 조성하고 기업들에게 활
력을 주어서 10년 20년 후에도 우리가 먹고 살수 있는 IT기술을 개발, 육성하려는 계획을 설명하였
다.
강연이 끝난 후, 질의응답 시간이 있었다.
초반에는 대학원생분들이 839 프로젝트에 대해 질문을 했다. 839프로젝트의 미래나 세부적인 내
용들에 대한 이야기가 오고 갔다. 그리고 후반에는 학부생 선배들 몇명이 질문을 하셨다. 가장 내가
듣고 싶어하던 내용. 우리 학부생들이 가장 알고 싶어하는 내용인 바로 ICU의 비전에 관한 내용이
었다. 우리학교의 이사장은 정보통신부 장관으로 되어 있다. 장관이 바뀌면 이사장도 자동으로 바
뀌는 시스템이다. 한마디로 말해서 지금 와있는 진대제 장관님께서 우리 학교의 이사장인 것이다.
그 분이 말해주는 비전이 우리가 나아가게 될 미래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진대제 장관님은 제대로
된 답변을 하지 못하셨다. 핵심적인 내용은 한가지도 이야기하지 않고 우리에게 비전을 제시해 주
시지도 않았다. 생긴지 얼마 안된 ICU에 열정하나만을 믿고 들어왔고 학생들은 학교의 비전을 이사
장님께 듣고 싶어 한다고 말씀하신 선배의 말도 소용이 없었다. 나는 크게 실망하고 말았다.
아직 졸업생도 없고 진학하면 어떻게 해야 할지 갈피도 못 잡고 있는 상황인 학생들에게 학교의 이
사장이신 진대제 장관님께서는 우리에게 아무런 희망도 미래도 주지 못했다.
아주 크게 실망했다.
아무리 바쁘다고 하시지만, 그래도 학생들에게 희망을 주는 말 한마디 정도는 할 수 있지 않겠는가?
내가 가장 싫어하는 말이 "인재양성"이다.
필요한, 쓸모 있는 사람을 만들기 위해 공부를 시키고 교육한다.
나는 나라를 발전시킬 하나의 재료가 되는 것이고 그 재료들은 키워지기만 하면 된다?
내가 다니고 있는 대학도 앞으로 IT기술을 발전시키는데 사람이 필요하기 때문에 만든 것이고 그곳
에 다니는 개개인의 생각이나 꿈이나 이런 것은 필요없다는 느낌이 많이 든다.
이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나는 나의 꿈을 위해, 대학에 온 것이지 단순히 사회가 필요해서 기업이 필요해서 온 것이 아니다.
대학은 돈을 벌기 위해 준비하는 장소가 아닌, 꿈을 실현하기 위한 장소로서 존재하는 것이다.
839 프로젝트...
>접기
▶ 아내="여보, 냉장고 우유가 유통기한이 지났는지 좀 봐줘요." ▶ 남편="아까 경고음 못 들었어요? '유통기한이 지났습니다'라는 소리가 났잖아요." ▶ 아내="아 참, 그렇지. 그건 그렇고 당신 컴퓨터 챙겼어요?" ▶ 남편="그럼, 벌써 로봇이 갖다 줘서 손목에 찼는 걸요."
첨단 공상과학 영화에 나오는 얘기가 아니다. 이르면 2010년 안에 이뤄질 실제 상황이다. 정보통신부는 앞으로 우리나라를 먹여살릴 정보기술(IT) 개발의 야심작으로 '839 프로젝트'를 만들었다. 성공만 한다면 그야말로 'e-멋진 미래 세상'이다.
|
8대 서비스
설악산에 올라갔는데 올림픽 경기를 보고 싶어졌다. 그러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기능이 있는 휴대전화를 꺼내면 된다. 설악산 정상에서 위성을 통해 이봉주 선수가 마라톤 우승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산행도 하고 올림픽도 즐기는, '꿩 먹고 알 먹고'다. 오는 7월께 일반에 선보인다. DMB 전용 휴대전화 구입은 필수. 가격은 70만~80만원 선으로 예상된다. 2만원가량의 가입비와 월 1만 2000~1만 4000원의 이용료를 내야 한다.
RFID는 사물에 겨자씨 크기의 전자 태그를 부착했다고 이해하면 된다. 예를 들어 지금은 할인점에서 물건을 산 뒤 계산대 앞에서 길게 줄을 선다. 계산원이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에 일일이 감지기를 대야 하기 때문이다. RFID를 이용하면 그럴 필요가 없다. 물건을 카트에 실은 채 검색대를 통과하면 곧바로 계산된다. 2007년께 가능하다.
하반기에 선보일 인터넷전화는 기존에 집에서 쓰는 일반전화와 기능면에서 사실상 같다고 보면 된다. 그동안에는 걸기만 했는데 받는 것도 된다. 더 좋은 점은 이용료가 싸다는 것. 월 기본료가 1000원가량 될 전망이다. KT 시내전화 기본료는 5200원이다. 통화료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지금의 유선전화보다 쌀 것으로 보인다. 초고속인터넷에 가입하고 별도의 전화기를 구입해야 한다.
휴대인터넷은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통해 이동 중에도 유선 초고속인터넷 수준의 속도로 인터넷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서비스는 2006년부터 가능하다. 이 밖에 ▶ 고화질 영상의 디지털TV ▶ 집안의 디지털 가전을 체계적으로 운영하는 홈네트워크 ▶ 동화상 휴대전화를 즐기는 W-CDMA ▶ 운전하며 인터넷하는 텔레매틱스도 차츰차츰 나온다.
3대 인프라
광대역통합망의 개념은 이렇다. 지금은 전송망이 통신, 방송 전용망 등으로 따로 돼있다. 도로로 치면 각각의 전용도로가 있는 셈이다. 전용도로는 서로 만나는 지점에서 병목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자는 게 광대역통합망이다. 하나의 망으로 통신과 방송, 인터넷 등을 통합하는 것이다. 대신 전송속도를 크게 높여 망 안에서 충돌을 피할 수 있게 했다.
IPv6 인프라 구축은 도메인 수를 무한대로 늘리는 작업이다. 지금 사용되는 IPv4는 도메인 수가 32억개다. 지구촌에서 32억개로는 모자라 이미 포화상태에 가깝다.
USN은 RFID와 함께 쓰인다. 즉 전자 태그가 부착된 제품에 센서 기능이 추가된 것이다. 이 기술의 적용 범위는 방대하다. 예컨대 자동차에 적용하면 타이어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타이어에 붙여진 전자 태그가 타이어의 이상을 찾아내 운전자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알려준다.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에 대한 경고 메시지를 보내기도 하고, 식품을 전자레인지에 넣으면 조리시간이 자동 입력돼 적당한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축산 농가에서는 소에 전자 태그를 붙여놓고 건강 상태를 수시로 점검할 수 있다.
9대 신기술, 제품
최근 영화나 MP3 등을 즐길 수 있는 멀티미디어 휴대전화가 인기다. 이는 3세대 이동통신이다. 이보다 속도가 50배나 빠른 것이 차세대(4세대) 이동통신이다. 차세대 PC도 곧 나오는데, 대표적인 것 중 하나가 손목시계형 PC다. 올해 안에 선보인다. 차세대 PC는 몸의 상태를 진단하고 즉시 무선인터넷으로 병원 처방까지 받아 가까운 약국을 액정화면에 표시해 주기도 한다.
사람과 비슷한 형태의 지능형 로봇은 2007년을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주인을 알아보고 시속 1.5㎞로 걸어와 악수도 건넬 줄 안다. 세탁기에서 빨래도 꺼낼 줄 알아 주부들에겐 희소식이다.
IT SoC는 하나의 칩 안에 각종 소프트웨어가 들어 있는 것을 말하며, 임베디드SW는 가전제품이나 휴대전화 등에 들어가는 소프트웨어라고 이해하면 된다. 우리나라가 IT 강국이면서 소프트웨어에서는 선진국의 독주를 막지 못하고 있는데, 정부는 이 분야의 국산화율을 올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디지털콘텐츠는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해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내용물을 말한다. 요즘 아이들에게 인기가 좋은 아바타나 게임, 휴대전화 채팅 등이다. 디지털TV, 홈네트워크, 텔레매틱스도 8대 서비스사업과 별도로 기술개발 분야로서 9대 신기술, 제품에 포함됐다.
출처 :http://blog.naver.com/imkris.do